맨위로가기

빈 공방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공방전은 1529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쉴레이만 1세가 오스트리아의 빈을 공격한 사건이다.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헝가리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쉴레이만 1세는 헝가리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1세를 견제하기 위해 빈을 공격했다. 오스만군은 빈을 포위했으나, 빈 수비군의 강력한 저항과 악천후, 보급 문제 등으로 인해 결국 퇴각했다. 빈 공방전은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진출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이후 오스만 제국과 유럽 간의 세력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튀르키예 관계 -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은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일련의 군사적 충돌로, 헝가리 왕위 계승, 오스만 제국의 팽창, 종교적 갈등이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유럽의 세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스트리아-튀르키예 관계 - 동방문제
    동방문제는 18세기 오스만 제국 쇠퇴기에 유럽 열강이 오스만 제국 중심 지역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려 한 외교적 갈등으로, 유럽 외교 문제, 발칸 민족 문제, 오스만 제국 영토 문제의 성격을 지닌다.
빈 공방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충돌 정보
분쟁합스부르크-오스만 전쟁
시기1529년 9월 27일 – 1529년 10월 15일 ()
장소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오늘날의 오스트리아)
결과합스부르크의 승리
교전 세력 1신성 로마 제국
전투 참가 세력 1보헤미아 왕국
팔츠 선제후국
카르니올라 공국
스페인 제국
교전 세력 2오스만 제국
전투 참가 세력 2몰다비아 공국 (오스만 제국의 속국)
지휘관 및 지도자
신성 로마 제국 측 지휘관니클라스 그라프 살름 (사망)
필리프 데어 슈트라이트바레 (필리프 폰 팔츠-노이부르크)
빌헬름 폰 로겐도르프
페타르 케글레비치
요한 카치아너
파블레 바키치
오스만 제국 측 지휘관쉴레이만 1세
파르갈리 이브라힘 파샤
병력 규모
신성 로마 제국 측 병력약 17,000–21,000명
오스만 제국 측 병력약 120,000–125,000명 (포위 공격 당시 동원 가능 병력은 100,000명)
사상자 규모
신성 로마 제국 측 사상자불명, 민간인 사망자 다수 추정, 1,500명 이상 사망 (수비대의 10%)
오스만 제국 측 사상자15,000명 (부상, 사망, 포로 포함)
시각 자료
1529년 빈 공방전 당시 오스트리아군과 오스만군의 충돌을 묘사한 삽화 ([[바르텔 베함]] 작)
1529년 바르텔 베함의 빈 외곽에서 오스트리아와 오스만 사이의 충돌에 대한 현대적인 판화

2. 배경

1526년 8월 오스만 제국의 술탄 쉴레이만 1세모하치 전투에서 러요시 2세의 군대를 격파하여 헝가리 남부를 장악하였다.[42] 이 전투에서 러요시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페르디난트 1세는 자신의 아내 안나가 헝가리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그러나 헝가리 귀족 야노시 자포여는 트란실바니아를 거점으로 왕위를 주장하며 페르디난트 1세에게 맞섰고,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 되는 조건으로 쉴레이만 1세에게 헝가리 왕으로 인정받았다.[42][7][8] 1526년 10월 26일 포조니(현재의 브라티슬라바)에서 열린 헝가리 의회는 페르디난트 1세와 러요시 2세의 여동생 간의 혼인, 그리고 러요시 2세와 페르디난트 1세의 여동생 간의 혼인을 근거로 페르디난트 1세를 헝가리 왕으로 선포했다.[42][10]

페르디난트 1세는 부다를 점령하며 헝가리에서의 자신의 권한을 강화하려 했으나,[43] 1529년 오스만 제국의 반격으로 점령지를 잃게 되었다.[44]

이 분쟁의 결과, 헝가리는 왕국 헝가리, 오스만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열되었고, 이 구도는 1700년까지 지속되었다.[9]

2. 1. 프랑스에서 본 배경

1519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사망하자,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는 막시밀리안 1세의 손자이자 합스부르크 가문의 당주 카를 5세(스페인 왕 카를로스 1세)에 대항하여 다음 황제를 결정하는 황제 선거에 출마했다. 만약 카를이 스페인 왕과 동시에 신성 로마 황제를 겸임하게 된다면, 프랑스는 동서에서 합스부르크 세력에 포위될 위험성이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실패하고 카를이 제위를 획득하면서 프랑스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의해 동쪽은 오스트리아, 서쪽은 스페인에 둘러싸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프랑수아 1세는 '적의 적은 나의 친구'라는 생각으로 독일 국내의 작센 선제후 등의 루터파 세력, 로마 교황 클레멘스 7세 등 카를 5세의 적대 세력과 잇달아 손을 잡고 포위망을 구축해 나갔다. 그중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던 것은 오스만 제국이었다. 여기에는 포위된 프랑스의 기사회생책으로,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이 동맹을 맺음으로써 오히려 오스트리아 본국을 포위하려는 의도가 있었다.[1]

2. 2. 오스트리아에서 본 배경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종교 개혁에 반대하며 루터파를 탄압했다.[1]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직면하여 일시적으로 루터파를 용인하는 입장을 취했다.[1] 이는 국내 갈등을 일시 중단하고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한 방어에 집중하기 위한 조치였다.[1]

2. 3. 오스만 제국에서 본 배경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쉴레이만 1세헝가리 왕국러요시 2세 군대를 격파하고 헝가리 남부를 장악했다.[42][6] 이후 헝가리 왕위 계승 문제를 두고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페르디난트 1세와 대립하게 되었다.

러요시 2세가 후사 없이 전사하자, 페르디난트 1세는 자신의 아내 안나 자겔로니카가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2] 그러나 헝가리 귀족 야노시 자포여는 트란실바니아를 거점으로 왕위를 주장하며 페르디난트 1세에게 맞섰고,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 되는 조건으로 쉴레이만 1세에게 헝가리 왕으로 인정받았다.[42][7][8]

1526년 10월 26일, 포조니(현재의 브라티슬라바)에서 열린 헝가리 의회는 페르디난트 1세와 러요시 2세의 여동생 간의 혼인, 그리고 러요시 2세와 페르디난트 1세의 여동생 간의 혼인을 근거로 페르디난트 1세를 헝가리 왕으로 선포했다.[42][10]

이로써 헝가리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다스리는 왕국 헝가리,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는 오스만 헝가리, 그리고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열되었다.[9]

3. 전투의 경과

1529년 5월, 쉴레이만 1세는 대군을 이끌고 이스탄불을 출발, 다뉴브 강을 따라 북상했다. 8월에는 모하치에서 헝가리 귀족 야노시 자포여를 만나 그의 복종을 확인하고 헝가리 왕위를 보장했다. 이후 부다를 비롯한 헝가리 도시들을 함락시킨 후, 9월 말 을 포위했다.

오스만 제국군은 12만 명이 넘는 대군에 300문의 대포를 갖추고 2만 마리의 낙타로 군수품을 운반했지만, 행군 중 악천후로 인해 포위전에 맞춰 도착하지 못한 대포도 있었다. 쉴레이만 1세는 1529년 5월 10일 원정을 시작했지만, 남동부 유럽의 심한 봄비로 인해 불가리아에 홍수가 발생하여 진격로 일부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많은 공성포를 뒤에 두고 와야 했다.

이에 맞서 빈은 보병 2만 명, 기병 1000명, 70문의 대포를 준비했다. 페르디난트 1세는 린츠로 피신하여 카를 5세와 제후들의 구원을 기다렸으나, 카를 5세는 스페인과 독일에서 원군을 파견했지만 오스만 제국군에 대항할 만한 병력은 아니었다. 결국 빈은 현지 수비군에 맡겨졌다.

빈은 니콜라우스 폰 잘름(en)과 빌헬름 폰 로겐도르프(en) 지휘 하에 방어 체제를 구축했다. 외벽 가옥들을 파괴하고 보루를 설치했으며, 초가지붕은 화재 방지를 위해 제거했다. 남쪽과 서쪽 성벽 안쪽에 토루를 쌓아 이중 방어선을 구축하는 등 철저히 준비했다.

오스만 제국군의 공격은 10월 1일부터 시작되었고, 성벽은 포격을 받았지만 붕괴되지는 않았다. 빈 수비군은 공격에 저항했고, 동쪽에서 갱도를 파고 들어온 파르갈 이브라힘 파샤의 부대를 기습하여 패주시켰다. 10월 6일(혹은 10월 7일)에는 케른텐 문에서 출격한 수비군 8000명을 맞아 500명을 사살하는 공방전이 있었지만, 빈은 오스만 제국군의 공격을 격퇴했다. 적군이 지하 통로를 파거나 지뢰로 성벽을 폭파하려 할 때도 즉시 대처하여 피해를 최소화했다.

그러나 곧 눈이 내리고 보급 부족으로 병사들의 불만이 높아지자, 쉴레이만 1세는 10월 14일 마지막 공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쉴레이만 1세는 10월 17일 퇴각을 결정했다. 포위 실패 원인으로는 빈의 완벽한 방어, 오스만 제국군의 긴 보급선, 추위에 익숙하지 않은 오스만 병사들의 어려움 등이 꼽힌다.[35]

3. 1. 오스만 군

1529년 봄, 쉴레이만 1세는 헝가리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고 페르디난트 1세와 신성 로마 제국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의 속국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오스만령 불가리아에 대군을 집결시켰다. 많은 역사가들은 쉴레이만 1세의 군대를 12만 명에서 3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한다.[45] 이 군대에는 시파히 기병 부대와 예니체리 정예 보병 부대뿐만 아니라 몰다비아와 세르비아 군대도 포함되어 있었다. 쉴레이만 1세는 최고사령관으로 활동했으며, 4월에는 이전에 그리스계 노예였으며 술탄의 이름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지휘권을 가진 ''세라스커''였던 이브라힘 파샤를 대 와지르로 임명했다.[46]

쉴레이만 1세는 1529년 5월 10일 원정을 시작했지만, 시작부터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47] 남동부 유럽의 특징인 심한 봄비가 불가리아에 홍수를 일으켜 진격로 일부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다. 많은 공성포들이 엉망이 되어 뒤에 두고 올 수밖에 없었고, 낙타들도 많은 수를 잃었다.

3. 2. 방어 준비

오스만 제국 군이 다가오자, 은 방어를 준비했다. 9월 초 부다 수비병들이 몰살당했다는 소식은 방어 의지를 더욱 굳게 했다.[49] 페르디난트 1세는 보헤미아로 피신하여 카를 5세에게 지원을 요청했으나, 카를 5세는 코냐크 동맹 전쟁으로 인해 약간의 스페인 보병대만 보낼 수 있었다.[50][51]

빈의 성 스테판 대성당


빌헬름 폰 로겐도르프(Wilhelm von Roggendorf)는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이름을 떨친 70세의 독일 용병 니클라스 그라프 살름(Niklas Graf Salm)에게 수비병 지휘를 맡겼다.[47] 살름은 독일 란츠크네히트 용병 창병과 스페인 머스킷 총병을 포함한 지원군 사령관으로 빈에 도착하여 성 스테판 대성당을 둘러싼 300년 된 성벽을 보강했다. 그는 도시의 4개 성문을 폐쇄하고 성벽을 보강했으며, 동쪽에 요새를 건축하고 성내 동부에 누벽을 세워 방어 태세를 강화했다.[47]

1530년, 빈 1529년 전경, 니콜라우스 멜데만 작


빈 시민들은 임시 방어군을 조직했고, 카를 5세가 파견한 독일 란츠크네히트 창병과 스페인 하르케부시에 전문병 등의 지원을 받았다.[19][20] 카를 5세의 여동생인 헝가리의 마리아 여왕은 1,000명의 독일 란츠크네히트와 700~800명의 스페인 하르케부시에를 파견했다. (스페인 병사 중 250명만이 생존했다.)[21]

루이스 데 아발로스 원수의 지휘 아래, 후안 데 살리나스, 하이메 가르시아 데 구즈만, 호르헤 만리케, 크리스토발 데 아란다 대위 등이 스페인 병사들을 이끌었다. 이들은 북부 지역 방어에 탁월했으며, 오스만 군이 성벽 근처 도나우 강 초원에 자리를 잡는 것을 막았다. 또한 포위 공격에 대비해 추가적인 울타리와 함정 구덩이를 구축했다.

빌헬름 폰 로겐도르프가 방어 주둔군을 지휘했고, 작전 지휘는 니콜라스, 잠 백작에게 맡겨졌다.[2] 잠 백작은 성 스테판 대성당 주변 성벽을 강화하고, 장기간의 포위 공격에 견딜 수 있도록 도시 문을 봉쇄하고 성벽을 보강했다. 또한 토루와 내부 토지 방어벽을 건설하고, 필요에 따라 건물을 철거했다.[2]

빈은 보병 2만 명, 기병 1000명, 70문의 대포를 준비했다. 니콜라우스 폰 잘름과 빌헬름 폰 로겐도르프는 빈 외벽 가옥들을 파괴하고 보루를 설치했으며, 내부 초가지붕은 화재 방지를 위해 제거했다. 남쪽과 서쪽 성벽 안쪽에 토루를 쌓아 이중 방어선을 구축하는 등 철저한 준비를 갖추었다.

3. 3. 공성전

오스만 제국군은 10월 1일부터 공격을 시작했다. 빈 수비군은 공격을 잘 막아냈고, 대베지르 파르갈 이브라힘 파샤의 부대를 기습하여 패주시켰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군은 10월 6일(혹은 10월 7일)에 케른텐 문에서 출격한 수비군 8000명을 맞아 500명을 사살했다.[47] 빈은 오스만 제국군의 공격을 격퇴했고, 적군이 지하 통로를 파고 들어오거나 지뢰로 성벽을 폭파하여 돌격해 와도 즉시 대처하여 나무 등으로 메우거나 수리했다.

오스만 군은 갱도를 파고 지뢰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공격을 시도했지만, 빈 수비군은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했다. 10월 6일, 빈 수비군은 8,000명의 병사들을 보내 땅굴을 파던 오스만 군을 공격했고, 많은 땅굴들을 파괴하였으나 혼란이 일어나 그들이 도시로 퇴각하는 것을 방해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어야만 했다.[47] 10월 11일, 더 많은 비가 내려 땅굴 전략은 실패했고, 오스만군의 빠른 승리를 위한 기회는 점차 줄어들어 갔다.[52]

10월 11일 많은 비가 내려, 땅굴 전략은 실패했고, 오스만군의 빠른 승리 기회는 줄어들어 갔다. 오스만 군의 말 사료와 부상자를 위한 물자들이 떨어져 가기 시작했고, 탈영은 오스만 군 진영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52] 심지어는 정예병인 예니체리마저 보급 상태에 대해 불만을 표하기 시작했다.[53]

10월 12일 쉴레이만 대제는 회의를 열어 병사들에게 특별한 보상을 약속하고 마지막 공격을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돌격은 아케부스와 긴 창을 가진 방어자들에게 다시 한번 격퇴 당했다.[54] 10월 14일 밤, 빈은 적진에서 오스만군이 떠나기에 앞서 포로를 죽이는 비명소리를 들었다.[47]

쉴레이만 1세는 10월 14일을 마지막 공격일로 정하고 오스만 제국군은 케른텐 문 부근에서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10월 14일 밤부터 다음 날 10월 15일까지 폭설이 내렸고, 빈 함락을 포기한 쉴레이만 1세는 10월 17일에 퇴각했다.

4. 영향

빈 공방전은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진출이 한계에 부딪혔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지만, 빈 함락에는 실패하면서 유럽 정복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57] 합스부르크 가문은 빈을 방어하는 데 성공했지만, 헝가리 영토 일부를 상실하고 이후에도 계속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직면해야 했다.[57]

1529년 빈 공방전으로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오스트리아 측은 수많은 병사와 시민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노예로 끌려갔다. 오스만 제국 역시 상당한 피해를 보았으며, 이로 인해 중부 유럽으로의 팽창이 저지되고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이 약화되기 시작했다.[58]

페르디난트 1세는 빈 방어에 공을 세운 니클라스 그라프 살름을 기리기 위해 기념 동상을 세웠다. 살름은 1530년 오스만 군의 마지막 공격 때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석관은 현재 빈의 포티프키르헤 세례당에 안치되어 있다.[60] 페르디난트 1세의 아들 막시밀리안 2세는 쉴레이만 1세가 막사를 세웠던 장소에 뉴게바에드 궁전을 건설했다.[61]

빈 공방전은 유럽 전역에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1683년에 다시 한번 빈을 포위하지만, 이 역시 실패로 돌아가면서 제국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9-22
[2] 문서 The Ottoman Empire
[3] 문서 The Ottoman Empire
[4] PDF https://repositorio.[...] 2022-03-01
[5] 문서
[6] 백과사전 Battle of Mohács https://www.britanni[...] 2020-10-14
[7] 백과사전 Louis II: king of Hungary and Bohemia https://www.britanni[...] 2020-10-14
[8] 백과사전 Süleyman the Magnificent https://www.britanni[...] 2020-10-14
[9] 서적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273–17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Osprey
[11]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Osprey
[12] 문서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13] 서적 Magyarország hadtörténete I. Zrínyi Military Publisher
[14] 문서 Ottoman Warfare 1500–1700
[15] 서적
[16] 백과사전 Siege of Vienna: Europe [1529] https://www.britanni[...] 2020-10-14
[17] 서적 Atlas of Southeast Europe: Geopolitics and History. Vol. One: 1521–1699 https://books.google[...] Brill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Defenders of the Faith: Charles V, Suleyman the Magnificent, and the Battle for Europe, 1520–1536 Marshall Cavendish
[21] PDF https://repositorio.[...] 2022-03-01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Early Modern Wars 1500–1775
[25] 문서
[26] 서적 Siegecraft – No Fortress Impregnable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3
[27] 서적 Atlas of Southeast Europe: Geopolitics and History. Volume One: 1521–1699 https://books.google[...] Brill 2015
[28]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Osprey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서적 Empire and Power in the Reign of Süleyman: Narrating the Sixteenth-Century Ottoma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삼교, 크로우
[37] 서적 The Ottoman Empire, Who's Who in Military History, The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Keegan and Wheatcroft, Dupuy, Trevor, et al
[38] 서적 The Ottoman Empire, Siege Warfare: Fortresses in the Early Modern World 1494-1660 Turnbull, Christopher Duffy
[39]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Osprey
[40]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Osprey
[41] 서적 Riley-Smith, Shaw and Shaw,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42]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Osprey
[43]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Osprey
[44]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Osprey
[45]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 - 1699, The Government of the Ottoman Empire in the Time of Suleiman the Magnificent, The Origins of Backwardness in Eastern Europe, Islam at War http://books.google.[...]
[46] 서적 Ottoman Warfare 1500-1700
[47] 서적 Turnbull
[48] 서적 Stavrianos
[49] 서적 Keegan and Wheatcroft
[50] 문서 당시 카를 5세는 스페인의 군주 스페인 왕 카를로스 1세이기도 했다.
[51] 문서 5차 이탈리아 전쟁으로 불리는 코냑동맹전쟁의 막바지 단계로 1529년 10월경에 피렌체 침공을 계획하고 있었다. 프랑스와는 6월 21일에 란드리아노 전투에 승리한 후 8월에 캉브레 조약을 통해 강화가 체결되었고 피렌체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과도 평화협정을 맺었다.
[52] 서적 Spielman
[53] 서적 Fisher
[54] 서적 Stavrianos
[55] 서적 Tracy
[56] 서적 Riley-Smith
[57] 서적 Shaw and Shaw
[58] 서적 Stavrianos
[59] 서적 Kann
[60] 서적 Dupuy, et al
[61] 서적 Louth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